
어디선가 돈을 빌리면 어떤식으로 갚아야 할까?
대출을 받을 때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건 금리다. 하지만 금리 못지않게 중요한 게 바로 상환 방식이다. 같은 금리여도 어떤 상환 방식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실제로 내는 이자는 크게 달라진다.
오늘은 대표적인 대출 상환 방식들을 비교하고, 어떤 상황에서 유리한지 정리해본다.
대표적인 상환방식 3가지
- 원리금균등상환: 매달 갚는 금액이 일정해 예측하기 쉽지만, 초반에 이자 비중이 크다.
- 원금균등상환: 초반 상환 부담이 크지만, 시간이 갈수록 이자 부담이 줄어든다.
- 만기일시상환: 만기까지 이자만 내다가 마지막에 원금을 한 번에 갚는다. 단기 자금 용도에 적합하지만 위험도 크다.
원리금균등상환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방식이다. 매달 같은 금액을 납부한다. 예를 들어 1천만 원을 빌려 3년 동안 원리금균등으로 갚는다면, 매달 똑같이 30만 원대 금액을 낸다.
장점은 예측 가능성이다. 월 납입액이 일정하니 가계부를 짤 때 안정적이다. 단점은 초반에는 낸 금액 대부분이 이자로 빠져나간다는 점이다. 그래서 실제로 원금을 갚는 속도는 생각보다 느리다.
원금균등상환
말 그대로 매달 같은 금액의 원금을 갚고, 여기에 이자를 더한다. 원금은 일정하지만, 이자가 줄어드는 구조라 시간이 갈수록 부담이 줄어든다.
예를 들어 천만원을 빌려 3년 동안 원금균등으로 갚으면, 처음에는 30만 원(원금) + 이자(많음)를 내야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이자가 줄어 월 납입액이 점점 가벼워진다.
장점은 전체 이자 부담이 원리금균등보다 적다는 점이다. 단점은 초반 상환액이 커서 부담이 크다는 것. 그래서 소득이 안정적이고, 초반에 부담을 감수할 수 있는 사람에게 적합하다.
만기일시상환
가장 간단한 방식이다. 매달 이자만 내다가 만기에 원금을 한 번에 상환한다. 예를 들어 1천만 원을 1년 만기 일시상환으로 빌리면, 매달 이자만 내고 마지막 달에 1천만 원을 한꺼번에 갚는다.
장점은 당장 부담이 적다는 것. 단기간 돈이 필요할 때 유용하다.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위험하다. 원금이 줄지 않으니 이자를 계속 많이 내야 하고, 만기에 원금을 한 번에 갚을 능력이 없으면 더 큰 빚으로 이어질 수 있다.
정리하자면?
구분 | 특징 |
---|---|
원리금균등상환 | 매달 납입액 동일 |
원금균등상환 | 원금 일정, 이자는 점점 감소 |
만기일시상환 | 매달 이자만 내고 마지막에 원금 |
어떤 방식을 선택해야 할까
사람마다 상황이 다르다. 그래서 정답은 없지만 몇 가지 기준은 세울 수 있다.
- 안정적인 급여 생활자라면 → 원리금균등상환이 무난하다. 예측이 쉽고 생활비 관리가 편하다.
- 초반에 돈이 여유롭고 전체 이자 줄이고 싶다면 → 원금균등상환이 낫다. 장기적으로 절약된다.
- 짧게 쓰고 곧 갚을 수 있다면 → 만기일시상환이 가능하다. 하지만 장기 대출에는 절대 권하지 않는다.
이자를 어떻게 상환하냐에 따라서 상환방식은 달라진다. 대출의 종류별로 상환방식은 조금씩 다른데 대출 상품을 볼때 가장 기본적으로 봐야할 항목이다.
📌 신용대출 입문자를 위한 가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