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기준으로 근로장려금 산정 방법은 어떻게 되는지 깔끔하게 정리했으니 참고해보자.
1. 신청 자격 요건
- 소득 요건 (2024년 기준, 부부 합산 총소득)
- 단독가구: 2,200만 원 미만
- 홑벌이 가구: 3,200만 원 미만
- 맞벌이 가구: 4,400만 원 미만
- 재산 요건 (2024년 6월 1일 기준)
- 가구원 합계 재산이 2.4억 원 미만이어야 함
- 주택, 토지, 예금, 승용차, 전세금 등을 합산 (부채는 불포함)
2. 최대 지급액 (2025년 기준)
- 단독 가구: 최대 165만 원
- 홑벌이 가구: 최대 285만 원
- 맞벌이 가구: 최대 330만 원
하지만, 가장 낮은 소득 구간에서는 최대액을 받고, 소득이 올라갈수록 점점 줄어드는 구조다.
3. 소득 구간별 지급 구조
- 최저 구간: 최대 지급액에 가까움
- 감액 구간: 소득 증가에 따라 지급액 점차 감소
- 상한선 근접: 소득이 상한에 가까워지면 지급액 거의 못받음.
예: 단독가구 총소득 500만 원일 경우 약 165만 원, 1,500만 원대엔 약 100만 원 내외, 2,200만 원이 넘으면 지급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다.
어차피 때가 되면 알아서 들어오겠지… 아래는 산정표니까 참고하시길.










참고: 2024 근로장려금 지급일 확인방법(2023 귀속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