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청년내일저축계좌 근로 유지기준 핵심정리

나도 현재 청년내일저축계좌 가입한지가 1년째가 되었다.

그런데 갑자기 중간에 피치못할 사정으로 일을 쉬면 어떡하지? 라는 생각이 들어서 근로 유지기준은 어떻게 되는지 등에 대한 정보들을 정리해 봤으니 혹시 소득이 끊길것 같은 사람들은 아래 내용을 참고해두자.

◾근로의 종류 대부분 가능, 소득있으면 된다

근로 형태인정 여부비고
정규직, 계약직✔️일반적인 고용형태
아르바이트✔️주휴 수당 포함, 10만 원 이상이면 가능
프리랜서✔️소득이 사업소득으로 잡히면 가능
일용직✔️1일 단위 일도 반복되면 인정 가능
자영업✔️사업자 등록 필수

단, 주의할 점은 국가가 전액 인건비를 지원하는 공공근로나 노인, 장애인 일자리 사업은 근로로 인정 안된다. 그리고 현역병 복무중같은 경우에도 근로로 안치니까 이건 참고하시길.

◾중간에 쉬면 어떡하나

가장 궁금했던게 중간에 이직을 위해서 쉰다거나 하면 지원금 없어지는거 아닌가 싶었는데 이때는 그냥 ‘적립중지 제도’를 활용하면 된다.

  • 총 3년 중 최대 6개월까지 근로활동이 중단돼도 유지 가능
  • 사전 신청 필수 (미신청 시 불이익)
  • 이 기간에는 본인 저축도 정부 지원금도 중지됨
  • 임산,출산 및 군복무같은 경우는 2년 중지 가능.

지원금은 중지 기간동안 안 쌓이지만 다시 나중에 저축시작하면 그때부터 지원금이 쌓인다.

근로활동이 지속되지 않거나 본인 적립금을 누적 12개월 미납하는 경우 정부지원금이 환수되고 계좌가 해지될 수 있다고 하니 꼭 알아두자.

◾유지를 위한 소득 상한금액

직장인은 그렇게 크게 월급이 오르는 경우가 없겠지만 사업자의 경우 갑자기 수익이 뛰어 오를 수 있는데 소득이 일정치 이상 많아지면 청년내일저축계좌는 해지된다.

1인가구부터 3인가구까지는 약 500만원 이상 소득상한이 초과가 되면 그동안 적립된 본인 적립금과 정부지원금을 지급받고 계좌해지되는거다.

그동안 쌓였던거는 그대로 받으니까 아쉬워 할거 없을것같다. 소득이 오르는게 훨씬 낫지.

집돌이성공기

집돌이성공기

도움이 되는 정보는 다 모아둡니다. 자주 놀러와 주세요.

댓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