둘다 청년 저축 계좌라는데 뭐가다르지? 이름도 비슷하고.
나도 두가지가 뭐가 다른건지 몰랐는데 최근에 청년 자산 형성을 위해서 정부가 지원제도를 많이 만드는 것 같다.
그중에서 가장 인기가 많은게 바로 ‘청년내일저축계좌’와 ‘청년도약계좌’인데 지원대상부터 혜택방식까지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이 두가지의 차이를 비교하고 어떤게 더 괜찮을지에대해서 정리해 봤다.

◾이름은 비슷하지만 완전히 다른 제도
항목 | 청년내일저축계좌 | 청년도약계좌 |
---|---|---|
주요 대상 | 저소득 청년층 | 중산층 청년층 |
소득 기준 | 중위소득 100% 이하 | 연소득 5,000만 원 이하 (월 약 416만 원 이하) |
가입 연령 | 만 19세 ~ 34세(조건 따라 만 15~39세 가능) | 만 19세 ~ 34세 |
정부 지원 방식 | 내가 10만 원 저축 → 정부가 10만~30만 원 매칭 | 내가 저축한 금액 일부에 대해 정부가 납입 보조 |
저축 기간 | 3년 | 5년 |
최대 수령액 | 약 1,440만 원 + 이자 | 최대 약 5,000만 원 가능 (개인 납입 포함) |
위 표만 봐도 알 수 있듯이 지원대상과 금액의 규모, 저축 방식 모두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소득이적은 청년이 근로를 유지하면서 목돈을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하자는 취지고, 청년도약계좌는 중산층의 청년도 장기적으로 자산 형을 도와주자는 취지로 만들어진 제도들이다.
◾가입조건 비교
두 제도는모두 만 19~34세 청년을 대상으로 한다는게 똑같은데 소득 기준과 추가 조건이 크게 다르다.
✅ 청년내일저축계좌 조건
- 연령: 만 19~34세 (소득 낮을 경우 만 15~39세도 가능)
- 개인 소득: 근로·사업소득 월 10만 원 이상
- 가구 소득: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 기타 조건: 현재 근로 중, 재산 요건도 존재(대도시 3.5억 이하 등)
참고: 기준 중위소득표 가구별 정리(50% ~ 200%)
✅ 청년도약계좌 조건
- 연령: 만 19~34세
- 개인 소득: 연 7,500만 원 이하 (월 약 625만 원)
- 총 급여 기준: 연 5,000만 원 이하일 경우 정부 지원 100% 수령 가능
- 기타 조건: 근로 여부만 확인되면 비교적 단순
✔️ 요약해보자면?
- 소득이 낮고 3년간 단기 목돈을 원하면 -> 청년내일저축계좌
- 어느정도 소득이 있어서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이 어려운 경우 차선책 -> 청년도약계좌
◾정부지원의 방식 비교, 뭐가 얼마나 더 받나?
항목 | 청년내일저축계좌 | 청년도약계좌 |
---|---|---|
저축 방식 | 최소 월 10만 원 저축 시, 정부가 10~30만 원 매칭 | 월 최대 70만 원까지 저축, 일부 정부보조 |
매칭 조건 | 중위소득 50% 이하: 30만 원초과~100% 이하: 10만 원 | 연 소득 2,400만 원 이하일 경우 월 최대 3.3만 원 정부기여금 |
정부 지원 상한 | 최대 1,080만 원 (3년간) | 최대 약 720만 원 (5년간, 조건 충족 시) |
비과세 혜택 | 이자 소득세 면제 | 이자 소득세 면제 |
연소득이 낮은경우라면 두가지 모두 좋은 선택지가 될 수 있는데, 단순하게봐도 청년내일저축계좌가 정부지원금이 더 많다는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조건도 가구소득이 중위소득 50%이하여야 되어서 더 까다로운게 사실이다.
그러면 영끌을 해서 모은다 치고, 만약 최대금액으로 넣으면 본인이 납입한 금액에 비교해서 수익률은 어떻게 되는지 비교해봤다.
✅ 혜택금액 비교
항목 | 청년내일저축 (차상위 기준) | 청년내일저축 (일반 기준) | 청년도약계좌 |
---|---|---|---|
월 저축액 | 50만 원 | 50만 원 | 70만 원 |
납입 기간 | 36개월 | 36개월 | 60개월 |
본인 총 납입액 | 1,800만 원 | 1,800만 원 | 4,200만 원 |
정부 지원금 | 1,080만 원 | 360만 원 | 약 144만 원 |
예상 이자 수익 (5%) | 약 225만 원 | 약 225만 원 | 약 656만 원 |
총 수령액 | 약 3,105만 원 | 약 2,385만 원 | 약 5,000만 원 |
본인 대비 수익률 | 약 1.73배 | 약 1.33배 | 약 1.19배 |
물론 여기서 말한 수익률의 경우 ‘청년내일저축은 10만원만 넣어도 정부지원금이 똑같이 들어오기 때문에’ 수익률이 훨씬 더 높다고 이야기 할 수 있다.
결국 정부지원금은 어떤게 더 많은가? 라고 생각한다면 청년내일저축계좌가 더 많은 것은 사실.
아래는 내가 두가지 모두 알아보면서 가장 궁금했던 것들은 뭐가 있었는지 좀 적어봤으니 참고했으면 좋겠다.
◾궁금증 QnA
두가지를 비교하면서 궁금했던게 두가지 있는데 아래 내용은 복지로, 서민금융진흥원 등의 공식자료로 찾아본 결과다.
1️⃣ 두 계좌 중복가입이 가능할까?
- 안된다. 정부 자산형성지원 사업은 중복가입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하나만 선택해야 함(중복이 가능한 것들도 있는데 자산형성지원사업 중복 참여 가능/불가 리스트 이글을 참고해보자)
2️⃣ 그럼 내일저축계좌나, 도약계좌나 둘 중에 하나 있었는데 해지하고 다른걸로 이전 가능한가?
- 안된다. 그냥 중도해지하고 다른걸로 다시 신청해야 하는데 이렇게 하면 정부지원금은 못받고 그동안 쌓인 원금과 이자만 받는정도(비과세 혜택도 못받음)
3️⃣ 청년내일저축계좌 3년 만기 끝나면 도약계좌 신규가입할 수 있나?
- 가능하다.
이렇게 청년내일저축계좌와 청년도약계좌를 비교해보았다.
결국 정부지원금을 많이 받으려면 청년내일저축계좌가 더 좋음! 하지만 신청대상이 안된다면 어쩔 수 없이 도약계좌라도 들어야 한다.
청년내일저축계좌에 관심이 있다면 위 내용을 참고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