쳥년내일저축계좌 vs 청년도약계좌 비교, 나에게 맞는건?

둘다 청년 저축 계좌라는데 뭐가다르지? 이름도 비슷하고.

나도 두가지가 뭐가 다른건지 몰랐는데 최근에 청년 자산 형성을 위해서 정부가 지원제도를 많이 만드는 것 같다.

그중에서 가장 인기가 많은게 바로 ‘청년내일저축계좌’와 ‘청년도약계좌’인데 지원대상부터 혜택방식까지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이 두가지의 차이를 비교하고 어떤게 더 괜찮을지에대해서 정리해 봤다.

◾이름은 비슷하지만 완전히 다른 제도

항목청년내일저축계좌청년도약계좌
주요 대상저소득 청년층중산층 청년층
소득 기준중위소득 100% 이하연소득 5,000만 원 이하 (월 약 416만 원 이하)
가입 연령만 19세 ~ 34세(조건 따라 만 15~39세 가능)만 19세 ~ 34세
정부 지원 방식내가 10만 원 저축 → 정부가 10만~30만 원 매칭내가 저축한 금액 일부에 대해 정부가 납입 보조
저축 기간3년5년
최대 수령액약 1,440만 원 + 이자최대 약 5,000만 원 가능 (개인 납입 포함)

위 표만 봐도 알 수 있듯이 지원대상과 금액의 규모, 저축 방식 모두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소득이적은 청년이 근로를 유지하면서 목돈을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하자는 취지고, 청년도약계좌는 중산층의 청년도 장기적으로 자산 형을 도와주자는 취지로 만들어진 제도들이다.

◾가입조건 비교

두 제도는모두 만 19~34세 청년을 대상으로 한다는게 똑같은데 소득 기준과 추가 조건이 크게 다르다.

✅ 청년내일저축계좌 조건

  • 연령: 만 19~34세 (소득 낮을 경우 만 15~39세도 가능)
  • 개인 소득: 근로·사업소득 월 10만 원 이상
  • 가구 소득: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 기타 조건: 현재 근로 중, 재산 요건도 존재(대도시 3.5억 이하 등)

참고: 기준 중위소득표 가구별 정리(50% ~ 200%)

✅ 청년도약계좌 조건

  • 연령: 만 19~34세
  • 개인 소득: 연 7,500만 원 이하 (월 약 625만 원)
  • 총 급여 기준: 연 5,000만 원 이하일 경우 정부 지원 100% 수령 가능
  • 기타 조건: 근로 여부만 확인되면 비교적 단순

✔️ 요약해보자면?

  • 소득이 낮고 3년간 단기 목돈을 원하면 -> 청년내일저축계좌
  • 어느정도 소득이 있어서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이 어려운 경우 차선책 -> 청년도약계좌

◾정부지원의 방식 비교, 뭐가 얼마나 더 받나?

항목청년내일저축계좌청년도약계좌
저축 방식최소 월 10만 원 저축 시, 정부가 10~30만 원 매칭월 최대 70만 원까지 저축, 일부 정부보조
매칭 조건중위소득 50% 이하: 30만 원초과~100% 이하: 10만 원연 소득 2,400만 원 이하일 경우 월 최대 3.3만 원 정부기여금
정부 지원 상한최대 1,080만 원 (3년간)최대 약 720만 원 (5년간, 조건 충족 시)
비과세 혜택이자 소득세 면제이자 소득세 면제

연소득이 낮은경우라면 두가지 모두 좋은 선택지가 될 수 있는데, 단순하게봐도 청년내일저축계좌가 정부지원금이 더 많다는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조건도 가구소득이 중위소득 50%이하여야 되어서 더 까다로운게 사실이다.

그러면 영끌을 해서 모은다 치고, 만약 최대금액으로 넣으면 본인이 납입한 금액에 비교해서 수익률은 어떻게 되는지 비교해봤다.

혜택금액 비교

항목청년내일저축 (차상위 기준)청년내일저축 (일반 기준)청년도약계좌
월 저축액50만 원50만 원70만 원
납입 기간36개월36개월60개월
본인 총 납입액1,800만 원1,800만 원4,200만 원
정부 지원금1,080만 원360만 원약 144만 원
예상 이자 수익 (5%)약 225만 원약 225만 원약 656만 원
총 수령액약 3,105만 원약 2,385만 원약 5,000만 원
본인 대비 수익률1.73배1.33배1.19배

물론 여기서 말한 수익률의 경우 ‘청년내일저축은 10만원만 넣어도 정부지원금이 똑같이 들어오기 때문에’ 수익률이 훨씬 더 높다고 이야기 할 수 있다.

결국 정부지원금은 어떤게 더 많은가? 라고 생각한다면 청년내일저축계좌가 더 많은 것은 사실.

아래는 내가 두가지 모두 알아보면서 가장 궁금했던 것들은 뭐가 있었는지 좀 적어봤으니 참고했으면 좋겠다.

◾궁금증 QnA

두가지를 비교하면서 궁금했던게 두가지 있는데 아래 내용은 복지로, 서민금융진흥원 등의 공식자료로 찾아본 결과다.

1️⃣ 두 계좌 중복가입이 가능할까?

2️⃣ 그럼 내일저축계좌나, 도약계좌나 둘 중에 하나 있었는데 해지하고 다른걸로 이전 가능한가?

  • 안된다. 그냥 중도해지하고 다른걸로 다시 신청해야 하는데 이렇게 하면 정부지원금은 못받고 그동안 쌓인 원금과 이자만 받는정도(비과세 혜택도 못받음)

3️⃣ 청년내일저축계좌 3년 만기 끝나면 도약계좌 신규가입할 수 있나?

  • 가능하다.

이렇게 청년내일저축계좌와 청년도약계좌를 비교해보았다.

결국 정부지원금을 많이 받으려면 청년내일저축계좌가 더 좋음! 하지만 신청대상이 안된다면 어쩔 수 없이 도약계좌라도 들어야 한다.

청년내일저축계좌 총정리, 올해 바뀐 점은?

청년내일저축계좌에 관심이 있다면 위 내용을 참고해보자.

집돌이성공기

집돌이성공기

도움이 되는 정보는 다 모아둡니다. 자주 놀러와 주세요.

댓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