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금자 보호한도 1억, 알아둬야 할 것들은?

2025년 9월 1일부터 드디어 24년만에 예금자 보호한도가 1억으로 상향된다.

이번글은 예금자 보호한도가 무엇인지, 그리고 그 외로 더 알고 있어야 할 것들은 뭐가 있는지에 대해서 정리해보았다.

◾예금자 보호란 무엇인가

예금자 보호제도는 금융회사가 파산하거나 영업정지를 당했을때, 고객이 맡긴 돈의 일부를 예금보험공사에서 대신 돌려주는 제도를 말한다.

기존에는 1인당 그리고 금융회사당 5,000만원까지만 보호가 됐었는데 이제는 1억까지 상향이 된 것이다.

✅ 예금자 보호한도는 왜 오르나?

2024년 금융위원회 발표에 따르면,

  • 물가 상승
  • 고령화로 인한 노후대비 자산 증가
  • 예금자들의 금융 불안 해소

위와 같은 이유로 보호한도 상향이 추진되었다고 한다. 여기서 예금자보호는 ‘금융회사 1곳당 1인 기준’이기 때문에 A은행, B은행이 있다면 ‘각 각 보호’가 되는것이다. 그리고 1억원의 기준은 원금 + 이자인 것을 알아두자.

그렇다면 생각해봐야 할 것은 예금자 보호 대상인 상품인지 확인후에 가입해야 한다는점이 있다.

예금보호한도-상향-보도자료

◾1금융권 외 적용 여부

기존에 예금보험공사의 부보금융회사였던 은행, 저축은행 뿐만 아니라 각 중앙회가 보호주체였던 신협, 농협, 수협, 산림조합, 새마을금고의 예금보호한도도 동시에 1억으로 상향되었다.

그리고 퇴직연금, 연금저축, 사고보험금의 보호한도도 추가 되었다는 것을 참고하면 된다.

예금보호대상인지 확인하는 방법

1️⃣ 상품설명서에 “예금자 보호법에 따라 보호됩니다”라고 써 있는지 확인
2️⃣ 예금보험공사에서 보호대상 금융상품인지 조회해보기

예금자 보호가 적용되지 않는 상품들

보통 예금 적립 목적이 아닌 투자성 상품이거나 위험 보장용 보험상품의 경우에는 예금자 보호가 적용되지 않는다.

분류보호되지 않는 대표 상품 예시
투자 상품주식, 채권, 펀드(ETF, MMF 등), 리츠(REITs), 파생상품 등
신탁 상품금전신탁, 특정금전신탁, 종신신탁 등 대부분의 신탁 상품
일부 보험 상품변액보험, 종신보험, 실손보험, 암보험 등 보장성 보험 상품
일부 CMA 계좌MMF형 CMA 계좌
외화예금일부 외화예금 (은행에 따라 보호 여부 다름)
카드사 예치금선불카드 충전금, 카드포인트, 일부 하이브리드카드 잔액 등
디지털 자산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가상자산, NFT 등

예금자 보호 한도가 올라가면서 보다 안정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게 되었기 때문에 2금융권에 자금 예치를 고려하는 사람들이 많아질 것 같다.

그리고 안전성을 위해서 예금을 분산 예치하는 것을 생각해보길 바란다.

집돌이성공기

집돌이성공기

도움이 되는 정보는 다 모아둡니다. 자주 놀러와 주세요.

댓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