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톡 오픈채팅 미성년자 보호조치 2가지 방법

요즘 정말 무서운 시대다. 예전과는 다르게 자녀들에게 안좋은 콘텐츠는 너무 쉽게 보여진다.

그 중에서도 요즘 카카오톡의 오픈채팅 때문에 문제가 되는 경우도 많은데 부모의 입장에서 카카오톡을 아예 못하게 하는것은 친구들의 관계 때문에라도 걸리는게 사실이다.

그래서 이번글에서는 카카오톡 오픈채팅을 미성년자일 경우 보호조치해서 못쓰게 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카카오톡 오픈채팅 못하게 하는 2가지 방법


기존에 해당 번호를 사용하던 사람이 어떻게 카톡을 사용했는지 모르는데 번호를 부여받으면 이상한 문자나 오픈채팅이 갑자기 뜨는 경우가 있다.

그럴경우 자녀가 안좋은 내용을 볼까봐 노심초사하는 부모님들이 많을거라고 생각해서 알아보았다.

카카오톡에서는 만19세 미만 잉용자 본인이 요청하거나 또는 법정대리인이 요청하면 일부 기능을 한시적으로 제한 할 수 있게 해 놓았다.

또 한가지 방법으로는 모바일펜스라고 자녀 스마트폰을 관리하는 앱이 있기는 하지만 유로이기도 하고 인터넷에서 “모바일펜스 뚫기“, “모바일 펜스 무력화” 등으로 검색하면 방지해 놓았던것을 풀기도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어서 확실하지 않은 방법 같다.(또한 아이폰은 지원하지 않음)

모바일펜스 관련검색어

어차피 계속 업데이트 되기 때문에 나아지겠지만 혹시나 모바일펜스가 궁금하신 분들은 링크를 통해서 알아보시길 바라며 여기서는 카카오톡에서 제공하는 보호조치 방법을 알아보자.

카카오톡에 직접 보호조치 신청하기

일단 보호조치의 대상은 만 19세 미만의 이용자여야 한다. 여기서 보호조치를 하게 되면 오픈채팅방을 생성하거나 신규참여가 불가능하다.

보호조치 기간은 6개월(180일)인데 여기서 주의해야 할점은 2가지다.

  • 보호조치 기간 종료전에 해제하려면 접수자의 요청에 의해서 가능
  • 보호조치 적용되어도 기존에 참여중인 오픈채팅방에서는 정상적인 대화 가능

이러한 특징이 있기 때문에 신청하기 전에 정말 필요한 오픈채팅방은 놔두고 신청해야 한다.

부모(법정대리인)가 요청할 경우에 방법은 아래와 같다.

📌법정대리인 요청 방법

  1. 오픈채팅 미성년자 보호조치 요청서
  2. 통신사 가입증빙서류(사용자 본인 확인 목적)
  3. 미성년자 대리상담 관련 서류
    • 가족관계증명서 또는 후견등기부(이용자와 보호자 관계 확인하기 위해)
    • 보호자(법정대리인) 신분증 또는 통신사 가입증명서류(보호자 본인 확인 목적)
    • 카카오톡 대리 상담 위임장(만14세 미만아동은 생략가능)
    • 카카오톡 가입 이용자의 인감증명서 또는 본인서명사실확인서(만 14세 미만아동은 생략가능)

복잡해보이지만 그렇게 어렵지 않다. 일단 보호저치 요청서와 카카오톡 대리 상담 위임장은 카카오톡 고객센터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신청은 카카오톡 고객센터에서 할 수 있으니 1577-3754 번호로 전화를 해서 문의하던 카톡 앱에 있는 고객센터를 이용해서 문의하고 신청할 수 있기를 바란다.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관련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