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도 20대 초반때 차를 운전했다면 보험료를 좀 줄이기 위해서 부모님 밑으로 가입을 한사람들이 많을 것 같다.
이후에 별다른 사고가 없었다면 만26세가 되어서 보험료 견적을 받아보면 단독으로 내가 보험을 가입해도 보험료가 많이 저렴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계약 변경이나 명의는 어떻게 바꿔야 할지, 자동차보험은 어떻게 들어야 할지에 대해서 알아보자.
독립하기 좋은 시기
우선 부모님이 가입한 보험이 아니라 내가 가입자로서 단독적으로 보험에 가입하기 좋은시기가 언제일까?
이건 개인마다 상황이 다를 수 있지만 대략적인 상황으로 보면 아래와 같다.
- 부모님 밑으로 보험가입한게 3년이 경과한 상태
- 만26세가 넘어가면서 보험료가 확실히 줄어들었을때
지난 시간 부모님 밑으로 보험가입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했을때 운전경력인정이 되기위해서는 따로 보험사에 신청을해야 된다고 했다. 그리고 이렇게 자녀가 보험경력을 인정받는건 대부분 보험사들이 최대기간을 3년으로 두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3년이 지나서 일단은 보험료를 비교한뒤 견적을 냈는데 “이정도면 괜찮다” 라고 생각이 들면 그때 독립할 시기가 됐다고 보면 된다.
확실히 만26세 이전에는 보험료가 너무 비싸다.
차종마다 다르겠지만 20살, 21살 같은 경우는 300만원이 넘게 나오는 경우도 많으니까…그런데 확실히 만26세가 넘어가면서 부터는 보험료가 싸지기 시작한다.
일단 위 링크를 통해서 보험료를 비교해보길 바란다. 차종이 비싸고 그런게 아니고 사고이력도 없다면 경력인정받아서 생각보다 비싸지 않을 수 있다.

계약자 및 피보험자 변경 방법
각 보험사에 연락을 해서 계약자 및 피보험자를 변경하고 싶다고 얘기하고 보험사에서 승인하면 안내를 받을 수 있다. 아래 전화번호 또는 링크를 통해서 홈페이지에 문의해보자.
보험회사 이름 | 고객센터 전화번호 |
---|---|
삼성화재 | 1588-5114 |
현대해상 | 1577-1001 |
KB손해보험 | 1544-0114 |
동부화재 | 1588-0100 |
메리츠화재 | 1566-7711 |
한화손해보험 | 1566-8000 |
흥국화재 | 1688-1688 |
롯데손해보험 | 1588-3344 |
axa손해보험 | 1566-1566 |
MG손해보험 | 1588-5959 |
참고하자면 대부분 내 지분 99% 부모님 지분 1%의 비율로 명의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가 많을것이다.
우선, 명의를 꼭 바꿔서 보험을 가입할 필요는 없다.
그런데 명의 이전을 하고 싶은 경우가 있지 않은가.
명의이전을 하지 않아도 크게 문제는 없지만 나중에 중고차로 판매를 한다거나 그럴때는 부모님의 지분이 있어서 동의가 필요하기 때문에 귀찮은 일이 있을 수도 있고 보험료 비교를 해보니 명의 이전이 낫다고 판단되면 변경해도된다(어차피 지분1%로 했으면 취득세로 거의 안나온다)
명의 이전은 온라인으로도 가능한데 자동차민원 대국민포털에서 하면 되고, 오프라인으로 변경하고 싶다면 차량등록사업소 또는 시,군 민원실의 차량등록과에 방문하면 된다.
다른 보험사로 변경하려고 할때
이런 경우도 있다. 기존에 이용하던 보험사를 계속 쓰는것보다 다른 보험사의 견적을 보면 더저렴한 경우.
그럴때는 보험사를 변경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 만약 보험만기가 다가왔다면 갱신하지 말고 다른 보험으로 들면된다.
앞서 이야기 했듯이 보험료 비교는 이곳저곳 많이 해보는게 가장 좋은데, 한번에 비교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위 방법을 이용하면 여기저기 확인할 것 없이 대략적인 견적을 받아볼 수 있다.
물론! 중요한건 보장의 범위가 어떻게 되냐도 중요하니까 가격이 대충 보고 가장 저렴한 쪽의 3곳정도 다이렉트로 견적을 제대로 한번 보길 바란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