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단한 대출용어 총정리
대출을 처음 이용하려고 할때, 용어가 생소한게 굉장히 많을 거에요. 그래서 이번시간에는 대출을 이용할때 사용되는 용어들을 모아서 정리해 보았습니다.
기본적인 대출용어
채무자 : 다른사람에게 빚은 진사람을 말한다, 대출을 받은 사람
채권자 : 다른사람에게 돈을 빌려준 사람을 말한다, 은행을 보통 채권자라고 보면된다
원금 : 대출을 신청했을때 이자를 제외한 원래 금액
금리 : 이자율을 뜻한다
원리금 : 원금과 금리를 합한 금액
만기 : 원금과 이자를 모두 갚아야 하는 시점
상환 : 대출을 갚는 것을 말한다
기준금리 : 한국에 있는 금융기관들의 기준이 되는 금리
중도상환 수수료 : 만기전 중간에 대출금을 모두 갚을 경우 부과되는 수수료
대출한도 : 대출금을 받을 수 있는 최대 금액 한도내에서만 대출원금을 정할 수 있다
제1,2,3 금융권 : 금융기관을 분류하는 기준이다, 기준은 은행법에 적용되는 기관 등으로 분류가 된다.
담보 : 채무를 불이행 할 것을 대비해서 채권자에게 채무자가 제공하는것, 부동산, 자동차, 예적금등이 있다.
이렇게 기본적인 대출의 용어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여기서 조금더 자세히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한벝만 훑어보시면 쉽게 이해하실 수 있을거에요.

대출
- 신용대출 : 담보물 없이 오직 자신의 신용도로 대출을 받는 것, 한도가 적고 이자가 높은편이다.
- 담보대출 : 자동차나 부동산등을 담보로 맡기고 대출을 받는 것 , 한도가 높고 이자가 낮은편이다.
금리
- 변동금리 : 대출 실행후에 금리가 주기적으로 변동되는 것을 말한다
- 고정금리 : 대출하고나서 만기시까지 금리가 변동되지 않는 것을 말한다
- 가산금리 : 은행에서 대출상품의 운영비, 대출소비자의 신용도를 확인해서 기존 금리에 더 붙이는 금리
- 우대금리 : 대출고객의 신용도와 거래실적 등을 고려해서 금리를 할인해주는 개념의 금리
참고: 변동금리와 고정금리의 개념
상환
- 원리금 균등 분할상환 : 원금과 이자를 균등하게 상환하는 방법
- 원금 균등 분할상환 : 원금만 균등하게 상환하는 방법
- 만기 일시상환 : 만기전까지 이자만 내다가 만기시 원금을 한꺼번에 내는 방법
- 혼합상환 : 대출원금의 일부분은 먼저 나누어서 상환하며 만기시에 나머지 원금을 상환하는 방법
- 거치식 상환 : 이자만 납부하다가 일정기간부터 원금과 이자를 균등하게 상환하는 방법
- 체증식 상환 : 초기 원금과 이자를 아주 적게 내다가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더 많이 내는 방법
- 수시 상환 : 매월 이자만 납부하다가 자신이 원할때 원금을 일부 상환하고, 나머지 원금은 만기때 상환하는 방법
금융권
- 제 1금융권 : 은행법에 적용받는 기관들, 은행기관들이 이에 해당된다. (카카오뱅크,케이뱅크,토스뱅크도 1금융권)
- 제 2금융권 : 은행법에는 적용받지 않지만 금융당국에 설립승인을 받은 회사
- 제 3금융권 : 금융당국에 설립승인은 받지 않았지만 합법적으로 대부업을 하는 회사
참고: 제 1,2,3 금융권의 구분방법과 특징에 대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