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업체 청약철회 vs 중도상환 뭐가 좋나?

대부업체에서 대출을 받았는데 며칠 지나지 않아 상황이 바뀌는 경우가 있다. 갑자기 부모님이 도와주신다거나, 급하게 쓰려던 돈이 필요 없어지는 경우다.

이럴 때 머릿속에 먼저 떠오르는 건 “그냥 청약철회하면 되는 거 아닌가?”일 거다. 그런데 막상 상담사에게 얘기하면 “청약철회는 하지 말고 중도상환이 낫다”는 답이 돌아온다. 왜그런지 바로 알아보자.

핵심 요약

14일 이내라면 청약철회는 법적으로 가능하다.
하지만 기록이 남아 향후 대출 심사에서 불리할 수 있다.
신용거래 이력을 깔끔히 유지하려면 중도상환이 상대적으로 안전하다.

왜 이런 차이가 생기나

청약철회와 중도상환은 겉으로 보면 비슷해 보이지만, 제도 성격이 완전히 다르다.

구분청약철회중도상환
법적 근거「대부업법」, 「금융소비자보호법」대부업체 약관
신청 기한계약일 또는 실행일로부터 14일 이내언제든 가능
상환 방식원금 전액 + 이자·부대비용 전액잔여 원금 + 경과이자 + (있다면) 수수료
신용기록대출 실행 후 취소 이력 남을 가능성 있음정상 상환으로 기록
금융 영향일부 금융사 심사에서 부정적 평가 가능불이익 가능성 낮음
수수료없음업체별로 다름, 0원인 경우도 있음

결국 또 쓸일 없다면 중도상환수수료 있나 확인하고 있다면 그냥 청약철회 하는게 낫다는거다.

왜 청약철회 못하게 하나

  1. 신용거래 이력 문제
    대출 실행 후 철회는 “한 번 실행된 대출을 취소한 이력”으로 남을 수 있다.
    모든 금융사가 이걸 불이익으로 보는 건 아니지만, 일부 심사 시스템은 ‘위험 신호’로 인식한다.
    특히 단기간에 이런 이력이 여러 번 있으면 더 불리하다.
  2. 대부업체의 손실
    대출은 실행 즉시 업체 입장에선 직원들이 일한 금액, 뭐 이런거 생각하면 손해라고 볼수도 있다.
    청약철회는 이익 없이 계약을 무산시키는 셈이라, 중도상환을 권유하는 경우가 많다.
  3. 향후 대출 계획에 영향
    지금은 필요 없어서 철회하지만, 몇 달 뒤 다른 대출을 신청할 때 이력이 남을 수 있다고 하는데 확실히는 모르는거.

중도상환, 안전하긴 한데 비용 확인 필수

중도상환은 정상적인 상환이기 때문에 신용기록에 ‘정상 거래’로 남는다. 다만 일부 대부업체는 중도상환수수료를 받는다.

보통은 0~2% 수준이고, 1년 이내 상환 시만 받는 경우도 있다. 계약서나 약관을 반드시 확인해야 하는 이유다.

선택 기준 정리

  • 향후 대출 계획이 있다면 → 중도상환이 무난
  • 이자와 수수료를 최소화하고 싶다면 → 수수료 없는 업체 기준으로 중도상환
  • 계약 직후며 조건이 마음에 안 든다면 → 청약철회도 고려 가능
  • 신용점수 영향이 중요하지 않다면 → 비용 절감 우선 선택 가능

참고사항

확실히 1,2금융권에서 돈을 빌리는것보다는 좀 더 쉽게 빌릴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대부업체보다 더 먼저 알아봐야할 것이 2가지 있는데 바로 서민금융진흥원에서 해주는 대출, 그리고 빚 갚는게 더무 힘들때는 채무조정제도다.

👉 서민금융 종류 알아보기

👉 신복위 채무조정제도 종류 알아보기

어떤 선택이든, 선택은 자유다.

집돌이성공기

집돌이성공기

도움이 되는 정보는 다 모아둡니다. 자주 놀러와 주세요.

댓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